미래의 투자4 프랙탈 시스템, 시장 수익률은 빈도보다 사이즈다 베노이트 만델브로트는 1924년 폴란드 바르샤바 출생으로 제2차 세계대전 중 나치스의 박해를 받았다. 독창성이 뛰어 났으나 정규 교육을 제대로 이수하지는 못했다. 그는 혼돈이론의 열쇠로 일컬어지는 프랙탈(fractal) 기하학의 창시자다. 프랙탈은 뉴톤 역학으로 설명할 수 없는 복잡한 자연질서를 설명하는 이론이다. 만델브로트는 프랙탈 이론이 적용될 수 있는 대표적인 예가 금융시장이라고 주장했다. 베노이트 만델브로트는 에서 "포트폴리오 이론의 첫째 가정은 가격변화가 통계적으로 서로 독립적이라는 것이다. 둘째 가정은 가격변화의 분포가 정규 분포의 종(bell) 모양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 시장 데이터들이 이런 가정을 만족하는가? 당연히 그렇지 않다."고 말한다. 금융 표준이론에서 자산가격은 정규분포를 .. 2019. 9. 20. S커브의 비밀, 주가 전망 오차가 생기는 이유 새로운 산업이 출현하면 초창기에는 그 산업에 투자하는 많은 신생기업들이 무수히 탄생한다. 시간이 지나면 경쟁업체의 수가 급격하게 줄어들며 시장에는 일류기업만이 생존하게 된다. 경쟁에서 밀려난 업체들은 말할 것도 없이 역사에서 사라져 간다. 이러한 냉혹한 비지니스 세계에서 마지막 단계에서 황제로 군림할 기업을 찾아내는 것이야말로 투자자들의 꿈이라고 할 수 있겠다. 4차 산업혁명을 부르짖고 있는 이 때 최후의 생존기업을 과연 우리들은 찾아낼 수 있을까? 『미래의 투자(MORE THAN YOU KNOW)』의 저자 마이클 모바신은 기업의 매출과 수익은 단절 또는 기술적 변화 이후에 S커브를 그리기 때문에 직선적인 사고 방식에 젖어있는 투자자들이 가속 단계 초입 단계에는 기업의 전망을 올바로 할 수 없다고 주장한.. 2019. 9. 2. 조지 지프의 파워 법칙, 성공 투자의 열쇠 하버드대학교의 언어학자인 조지 지프(Gerge K. Zipf)는 에 훗날 '파워 법칙'이라고는 불리게 되는 놀라운 결과들을 발표했다. 조지 지프는 제임스 조이스의 에 나오는 모든 단어를 조사하는 무모함을 발휘했다. 가장 많이 사용된 단어부터 차례로 순위를 매기고 각각의 단어가 얼마나 자주 등장하는지 빈도수를 계산했다. 그 결과 값들을 로그(log)단위의 비례로 표시하였더니, 왼쪽 위에서부터 오른쪽 아래로 향하는 직선을 그린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파워 법칙'의 탄생 순간이었다. 훗날 과학자들이 사회과학과 물리, 생물 시스템 등 다른 여러 분야에서 파워 법칙을 발견하게 되면서 일반적인 파워법칙이 탄생하게 되었다. 과학자들은 파워 법칙이 동물의 질량과 대사율, 지진의 진동수와 파장, 산사태의 빈도수와 크기,.. 2019. 6. 7. 마이클 모바신의 '미래의 투자', 편향을 극복해야 마이클 모바신의 는 투자 참고서적으로서 훌륭한 책입니다. 수학, 물리, 생물, 심리학 등 개별 학문의 연구 성과를 하나로 꿰어 투자론에 접목했습니다. 마이클 보바신은 컬럼비아경영대학원에서 투자론 강의와 대형 자산운용사인 레그메이슨 캐피털매니지먼트의 수석 투자전략가로 일하고 있습니다. 는 단편적인 기술을 말하는 대신, 투자의 세계에서 가져야할 장기적인 통찰과 시장의 흐름을 읽을 수 있는 안목을 키울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마이클 모바신은 확률이 지배하는 주식시장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단기적인 결과보다는 의사결정 과정에 초점을 맞춘 장기적인 전망의 중요성에 대하여 강조합니다. 바람직한 투자결정 과정은 현재 가격과 기대 값을 신중하게 비교하는 것으로 양질의 피드백(feedback)과 끊임없는 공부를 통.. 2019. 4. 25.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