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토 다카시의 <원고지 10장을 쓰는 힘>(2005)은 누구든지 훈련을 통해 원고지 10장을 쓰는 힘을 기르면 어떤 글도 잘 쓸 수 있게 된다고 주장하는 책이다.
글쓰기에 관한 책을 읽는다고 해서 하루아침에 문장력이 향상되는 것은 아닐 거다. 그럼에도 조급한 마음에 사람들을 글쓰기 관련 책들을 자주 찾곤 한다. 인지상정이다.
저자 사이트 다카시는 메이지대학교 문학부 교수로 있으며, 그가 출간한『소리 내어 읽고 싶은 일본어』는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현재 그는 유력 일간지의 칼럼니스트로 활동하고 있다.
1장에서 글 쓰는 능력이 무엇인지에 대해 설명하고, 2장에서는 글을 구성하기 위한 인용과 레쥬메, 그리고 3법의 법칙을 소개한다. 3장에서는 문체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사이토 다카시가 제시하는 '3의 법칙'은 문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세 개의 키 컨셉을 잡는 것을 말한다.
"글을 전체적으로 구성하는 작업을 할 때, 서로 비슷하지 않는 세 개의 키 컨셉을 얼마나 잘 연결시키느냐는 전적으로 글쓴이의 능력과 재능에 달려 있다"는 뜻이다. 이렇게 쓴 글은 읽기가 매끄러울 것이다.
그런데 사이토 다카시는 여기서 정작 중요한 키 컨셉을 어떻게 연결시키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스킬을 제시하지 않고, 다만 '전적으로 글쓴이의 능력과 재능'에 달려 있다고만 말한다.
조금 무책임한 말인 것 같지만, 거짓말은 아니다. 재능은 타고나는 것이니 어쩔 수 없고 꾸준하게 글쓰는 연습을 함으로써 글쓰는 능력을 키울 수밖에 없다는 말일 것이다.
155페이지라는 짧은 분량인 이 책에서 저자는 레토릭으로 가득찬 메타포들을 나열했다. 일테면 '쓰는 것은 스포츠'다, '질 보다는 양'이라는 주장들이다. 다 맞는 말이다. 압도적인 양으로 승부하다보면 성공하는 날도 오긴 올 것이다.
요약하면 글쓰기 역시 늘 열심히 읽고 쓰는 것 외에는 달리 왕도가 없다는 뜻이다. 꾸준하게 원고지 10장씩을 쓰다보면 문장력이 자연스레 생긴다는 저자의 주장에는 공감할 수밖에 없다.
댓글0